건축사
-
한국건축사의 전박적 이해 : 선사시대~중세건축사 2019. 5. 5. 20:25
선사시대부터 중세까지 ▣ 선사시대의 건축 1. 구석기 시대 - 동굴이나 바위 그늘, 강가 등의 임시거처 위주 생활 >> 수렵이 중요 생계수단이기때문에 이동하면서 삶 2. 신석기 시대 - 수렵, 채취 단계의 움집 작은 규모에 지붕구조 간단. 피난처 기능 때문에 바닥을 깊게 팜. 바닥 평면은 타원형, 원형 또는 네 모서리를 둥글게 한 방형으로 중앙에 화덕을 둠. - 농경 단계의 움집 장기간 정착할 수 있는 집의 필요성 대두. 평면이 장방형의 반듯한 모습을 띰. 기둥을 일정하게 배열하여 지붕을 지탱하는데 유리하도록 한것임. 바닥의 깊이가 조금씩 낮아짐. (역주 : 장방형은 직사각형을 의미합니다) ▣ 국가형성기의 건축 1. 청동기 시대 - 화덕의 이동, 증가로 취사와 휴식 영역으로 실내 기능이 분화되어 모계사회..